무슨 뜻일까?

개 발에 편자? 그게 욕이야 칭찬이야?

귀리남편 2025. 3. 21. 14:16
반응형

개 발에 편자”라는 말, 누가 내 앞에서 하면 기분 좋을까요? 나쁠까요?
일단 기분이 좀 찌뿌둥~ 할 거예요. 개? 편자? 도대체 무슨 뜻이길래 이런 말이 나왔을까요?

이 속담은 생각보다 훨씬 현대 한국 사회를 제대로 꼬집는 촌철살인이에요.
심지어 지금 시대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. 명품백 하나 들었다고, 수트 하나 입었다고 사람들이 속으로 ‘개 발에 편자네~’ 할 수도 있다는 거죠.


어울리지 않게 과한 걸 할 때

개 발에 편자”는 무슨 뜻이냐면요,
**"어울리지도 않고 필요도 없는 걸 괜히 갖췄다"**는 말이에요.

여기서 ‘편자’는 뭐냐면요, 말발굽에 박는 쇠못이에요. 말이 달릴 때 발이 다치지 않게 보호하는 거죠.
그런데 그걸 ‘개’한테 신기면요? 필요해요? 전혀요. 오히려 어색하고 우스꽝스럽죠.

그래서 이 속담은 겉모습만 번지르르하고, 실속은 없는 상황을 비꼬는 말이에요.

예를 들면?

  • 공부는 안 하면서 비싼 노트북부터 사는 학생
  • 운동은 안 하면서 비싼 헬스복만 사는 사람
  • 운전도 못하는데 외제차부터 뽑는 사람
  • 말투는 거창한데 실속은 없는 정치인들

진짜 찔리지 않아요? 다 한 번쯤은 그런 적 있잖아요. (저도 있습니다... 흑)

반응형

근데 요즘 시대엔 이게 꼭 나쁜 걸까?

자, 여기서 질문 하나 던져볼게요.
"개 발에 편자"가 무조건 나쁜 걸까요?

꼭 그렇지만은 않아요. 요즘 시대는 **‘먼저 겉모습을 갖추는 것도 전략’**인 경우가 많습니다.

요즘은 ‘먼저 꾸미고, 나중에 채운다’

  • 헬스장 갈 마음 먹었으면, 멋진 헬스복 먼저 사는 것도 동기 부여가 됩니다.
  • 첫 출근 전 정장 한 벌 사놓으면, 어깨 펴지고 마음가짐 달라지죠.
  • 블로그 운영을 시작할 때, 비싼 마이크나 카메라부터 사면… 글도 더 잘 써요! (진짜임)

즉, 처음엔 개 발에 편자 같아 보여도 그 편자가 삶의 방향을 바꿔줄 수도 있다는 거죠.
**“내가 뭘 하겠다고 마음먹은 순간, 이미 그 편자는 내게 어울리기 시작한 것”**입니다.


결국 중요한 건 '진짜 실력'이 따라오느냐

그럼에도 불구하고… 진짜 중요한 건 “개 발에 편자”로 끝나면 안 된다는 거예요.

  • 멋진 운동복 샀으면 운동도 시작해야 하고
  • 좋은 장비 갖췄으면 그에 걸맞은 실력도 키워야 하고
  • 명품백 들었으면 그만한 품격도 있어야 하죠

"개 발에 편자"를 벗어나 "말 발에 편자"로 가는 게 진짜 목표입니다.
그러니까, 지금 내 삶에서 편자 하나 걸었다면 그 편자에 걸맞는 실력을 꼭 따라가게 하자!


핵심 조언

  1. “개 발에 편자”는 처음은 어색하지만, 시작은 나쁘지 않다
  2. 겉모습을 꾸미는 것도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
  3. 하지만 결국엔 실력이 따라와야 진짜 자기 것이 된다
  4. 주변에서 누가 “개 발에 편자”라고 하면? 웃으며 ‘곧 말 된다’고 받아쳐라

마무리 한 줄 요약

겉만 번지르르한 삶? 이제는 겉으로 시작해 실력으로 마무리하자!


 

반응형